본문 바로가기

컴활1급 실기 공부

3강. 컴활1급 실기 엑셀-자동 필터와 고급 필터

-엑셀의 필터는 자동과 고급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필터는 원하는 조건으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이다. 자동 필터는 원래의 데이터 위치에서만 추출이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열을 조합하면 무조건 and조건으로 데이터를 찾는다. 하지만 고급 필터는 복잡한 수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두 개 이상의 열을 조합할 때 and와 or 조건으로 결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1. 자동 필터

-데이터-정렬 및 필터

 

자동 필터는 데이터의 정렬 및 필터에서 필터 버튼을 누르면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런 단순한 필터 문제는 매우 쉽기때문에 살짝 더 손이 가는 '사용자 지정 자동 필터'가 문제로 더 많이 출제된다.

 

사용자 지정 자동 필터를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필터 버튼을 누른 후 필드의 맨 위에 있는 ▼표시를 누르면 된다.

아래 그림과 같은 설정창이 나오게 될 것이다.

 

-아래 화살표를 누르면 자동 필터의 옵션을 결정 할 수 있다.

 

그 다음 아래에 있는 사용자 지정 필터를 눌러 창을 부른다. 여기서는 연산자(=, <=, >=, >, <, <>)나 만능 문자(와일드카드로 쓰이는 *와?)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자동 필터의 모습, 고급 필터보단 간단한 조건이다.

 

조건은 두 개 까지 가능하며 문제에 알맞은 조건을 입력하도록 한다.

 

2. 고급 필터

복사위치와 조건 범위를 결정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 참고로 다른 장소에 복사를 선택해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고급 필터는 자동 필터에 비해 복잡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할 때는 반드시 조건 범위를 지정해야 한다. 또한 함수나 식으로 조건을 지정할 때 범위의 첫 번째 열(필드 제목)은 절대로 필터를 적용할 필드의 이름이 들어가선 안된다.

 

예를 들어 근무시간이라는 이름의 필드가 있을 때, 고급 필터 조건 범위 지정 시 근무시간의 조건을 정한답시고 근무시간이라고 조건을 입력하면 필터가 꼬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and나 or조건 지정한 범위의 필드제목이 목록 범위에 있어도 괜찮다.  

 

-고급 필터의 설정 모습

고급 필터의 조건이 적용되는 방식은 테이블에 가상의 필드인 조건의 수식을 논리적으로 TRUE나 FALSE로 판단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조건 범위를 지정할 때 반드시 조건의 필드명이 들어가야 한다.

 

조건의 필드명을 포함해서 조건 범위를 잘 지정한 두 번째 그림과 첫 번째 그림의 차이를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첫 번째는 조건만 들어가면 되겠지 하고 A17셀만을 범위로 지정했고 두 번째는 제대로 A16 : A17셀로 조건을 지정했다.

 

 

-조건의 적용이 안 된 경우
-조건이 적용이 잘 된 경우

 

고급 필터는 한번 누르면 모든 필터에 적용되는 자동 필터와 달리 원하는 필드명만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제에서 주어지는 수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해보도록 하자

 

and나 or 조건은 입력된 행의 위치에 따라 구분된다.

같은 행에 조건이 입력되면 and로 적용되고, 다른 행에 조건이 입력되면 or로 적용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나이 급여
>=20 >=800000

and조건으로 나이가 20세 이상이며 급여가 80만원 이상인 데이터를 추출한다.

 

지역
서울
부산

or조건으로 지역이 서울이거나 부산인 데이터를 추출한다.

 

나이 지역
>=20 서울
>=50 부산

복합 조건으로 나이가 20세 이상이고 지역이 서울이거나 50세 이상이고 지역이 부산인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조건은 and먼저 계산된다.

 

조건을 확실히 파악하고, 입력하여 필터를 수행하도록 한다.